본문 바로가기
식품

GMO,유전자변형식품 먹어도 될까? [식품안전나라]

by 우이크92 2022. 6. 13.
반응형

GMO 유전자변형식품이란 = 식품의약품안전처

GMO 란?

유전자변형이란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하거나 유전자를 구성하는 핵산을 세포 또는 세포 내 소기관으로 직접 주입하는 기술, 분류학에 의한 과의 범위를 넘는 세포융합 기술 등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 또는 활용하여 농산물·축산물·수산물·미생물의 유전자를 변형시킨 것을 말합니다. 유전자 변형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생물체를 유전자변형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라고 합니다. GMO에는 유전자변형 농산물, 유전자변형 미생물, 유전자변형 동물 등이 있으며, 인슐린을 생산하는 세균, 인간의 질환을 연구하기 위한 모델 동물 등 다양한 분야에 유전자 변형 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유전자변형식품은 생물체 유전자 중에 유용한 유전자를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와 결합시켜 특정한 목적에 맞게 변형시킨 농산물 및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말합니다. GMO 식품은 1990년대부터 우리 식탁에 올라왔습니다. 제조·가공 후에 유전자변형 DNA 또는 단백질이 남아있는 모든 유전자변형식품들은 유전자변형 식품임을 표시 해야합니다. 반대말로 유전자조작을 사용하지 않은 식재료를 Non-GMO 식품이라고 합니다.

 

유전자변형식품(GMO)은 왜? 어떻게? 만들까.

유전자변형식품은 세계적인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유전자변형식품은 가뭄이나 제초제에 저항성이 강한 농작물을 만들어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특정 기능이 추가되거나 강화된 작물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아프리카에서 가뭄에 견딜 수 있는 옥수수, 가난한 국가 아동들의 야맹증 치료를 위해 비타민 A 성분을 강화한 '황금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콩, 감자, 면화, 사탕무, 카놀라, 알파파, 미생물, 식품첨가물 등 종류도 다양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위생법] 제18조에 따라 유전자변형식품 등에 대하여 안정성을 심사하여, 승인된 유전자변형식품만 국내에 수입·유통될 수 있습니다. 유전자변형식품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포장재의 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유전자변형식품이 만들어지는 방법을 가뭄에 잘 견디는 옥수수의 예로 들면 ①미생물에서 가뭄에 잘 견디는 유전자를 분리합니다. ②아그로박테리움에 유전자를 이식합니다. ③가품에 잘 견디는 미생물 유전자를 옥수수에 넣습니다. ④유전자가 변형된 옥수수를 선발합니다. ⑤마지막으로 가뭄에 잘 견디는 옥수수가 생산됩니다.

유전자변형식품의 종류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궁금증

① DNA 변형 식품이 우리 몸의 DNA에도 영향을 준다?

대부분의 식품 유전자는 섭취 후 소화효소와 위액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완전히 없어지므로 유전자변형식품을 먹는다고 사람의 유전자가 변형되지는 않습니다.

② GMO 섭취는 세대가 지나면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유전자변형식품은 시판 전에 엄격한 기준에 따라 안정성을 평가하여 승인하고 있으며, 시판 후에도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정보를 계속 수집·분석하고 있습니다. 미국한림원에 따르면 GM 작물이 일반 작물에 비해 인체 건강에 더 큰 위험을 끼친다는 근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③ 우리나라는 GMO 안전성을 어떻게 검증하는가?

모든 GMO는 식약처의 안정성 승인을 받아야만 비로소 판매와 유통이 가능합니다. 현재 식약처에서는 2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에서 독성물질, 알레르기 유발 물질, 새로운 위해 요소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손실 여부까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있으니 안심해도 된다고 합니다.

 

 

최근 물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마트에서 장을 보고 온 후 영수증을 확인하면 예전과는 다른 가격을 실감하곤 합니다. 만약 유기농 식품이나 NON-GMO 식품을 고른다면 더욱 비싸진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안전하고 질 좋은 제품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심리이지만 이런 고물가 시대에서 GMO 식품이 무엇인지 어떻게 안전성 검증이 이뤄지는지 등 GMO에 대한 의견들을 공유하는 것 또한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