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산물 가격 (주간 알뜰장보기 7월 3주차)_무더위로 수박 가격 상승세!
■7월 2주차 농산물 가격 동향
- 시금치(52.2% 상승): 고온과 우천으로 인한 작업량 감소 및 짖무름 등 상품성 저하로 물량이 감소하여 가격 상승
- 취청 오이(50.3% 상승): 코로나 19로 인한 인력난으로 재배면적 감소, 우천·일조 시간 감소에 따른 생육 부진으로 가격 상승
- 적상추(43.9% 상승): 우천, 국지성 호우 등으로 인한 수확부진, 고품위 물량 품귀로 가격 상승
- 방울토마토(14.1% 하락): 생육기 일조량 증가로 병해충이 적고 시중 물량이 많으며, 제철 과일로의 선호 분산으로 가격 하락
- 찹쌀(6.6% 하락): 유통업계 초복 할인행사 등의 영향으로 삼계탕 식자재인 찹쌀 가격 하락
- 체리(6.5% 하락): 미국 작황 부진, 고유가 등으로 고가에 거래되어 가계지출 부담으로 거래가 부진하여 가격 하락

■7월 3주차 농산물 가격 전망
- 풋고추(상승): 휴양철 삼겹살 수요 증가세이나, 상추 등의 가격 강세로 인해 대체품인 풋고추 선호로 가격 오름세
- 오이맛고추(상승): 주산지 고온, 우천으로 인한 병과 발생으로 출하조기 마무리 분위기로 가격 오름세
- 수박(상승): 복날, 휴가철 무더위 소비 수요가 높고, 우천으로 인해 물량 증가세가 둔화되어 가격 오름세
- 열무(상승): 장마로 인한 수확 부진, 폭염 등으로 인한 물량 감소에 비해 무더위로 인한 열무국수 수요등으로 가격 오름세
- 고구마(보합): 전년도 풍년으로 기존 저장량이 많고, 여름철 소비 비수기로 인하여 가격 약보합
- 참외(보합): 주 출하시기가 지나가고 있으며, 산지 우천 예보로 인한 병충해, 바이러스 피해가 예상되어 가격 약보합
- 오렌지(하락): 주 수입국인 미국 작황 부진으로 비싼 편이었으나, 호주의 작황 호조로 가격 내림세
- 전복(하락): 고수온기 이전 출하물량이 많고, 유통업계 보양식 할인행사 등이 계획되어 가격 내림세

■주요 농수축산물 소매가격
7월 2주차의 농수축산물 소매가격 동향은 고등어의 소매가격 하락폭이 4.5%로 가장 컸습니다. 감자, 멜론, 갈치, 고구마 등의 소매가격이 하락하였습니다.
상승한 품목은 시금치의 소매가격이 52.2% 상승하여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오이, 상추, 호박, 미나리 등의 소매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출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반응형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산물 가격 (주간 알뜰장보기 7월 4주차)_수박, 시금치 가격 끝없는 상승 중.. (0) | 2022.07.23 |
---|---|
수박, 여름철 대표 과일! 맛있는 수박 고르는 방법은? (0) | 2022.07.20 |
참외, 여름 대표 채소 참외의 효능 (0) | 2022.07.18 |
현미, 쌀겨와 쌀눈이 살아있는 영양만점 현미 (0) | 2022.07.17 |
콜라비, 양배추와 순무를 교배한 채소 '콜라비' (0) | 2022.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