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이란?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은 최근 1인 가구 증가, 코로나 19 등으로 인하여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편의점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고 마트에 가면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밀키트라는 것이 생겨 캠핑을 가거나 집에서 조리해서 먹기에 아주 편리한 제품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가정간편식이란 즉석 밥·국, 샐러드 등 바로 먹거나 간단히 데워 조리 섭취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부여한 가정식사 대용식을 총칭하며 신선편의식품, 즉석섭취·즉석조리식품, 간편조리세트 등을 가정간편식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식품공전상에서 다음과 같은 유형의 정의를 알아보겠습니다.
- 신선편의식품: 농·임산물을 세척, 박피, 잘단 또는 세절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거나 이에 단순히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으로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샐러드, 새싹채소 등의 식품을 말한다.
- 즉석섭취식품: 동·식물성 원료를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가공한 것으로서 더 이상의 가열,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 할 수 있는 도시락, 김밥, 햄버거, 선식 등의 식품을 말한다.
- 즉석조리식품: 동·식물성 원료에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가공한것으로 단순가열 등의 가열조리과정을 거치면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된 국,탕,수프,순대 등의 식품을 말한다. 다만 간편조리세트에 속하는 것은 제외한다.
- 간편조리세트(밀키트): 조리되지 않은 손질된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등 조리에 필요한 정량의 식재료와 양념 및 조리법으로 구성되어, 조리법에 따라 소비자가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한 제품을 말한다.
가정간편식(HMR) 시장 현황
가정간편식의 시장은 최근 성장세가 뚜렷합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조사한 2019년 가공식품 세분 시장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가정간편식 국내 출하 현황은 2013년 1조 6,058억 원에서 2017년 2조 7,421억 원으로 최근 5년간 70.8%나 증가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국내 가정간편식 출하액은 2017년보다 17.3% 많은 3조 2,164억 원 규모일 것으로 추정되며, 2022년 출하액은 5조 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HMR 시장현황 조사에 따르면 즉석섭취식품에서는 도시락의 판매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김밥, 햄버거 순으로 판매가 많이 되었습니다. 신선편의식품은 절단과일의 판매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샐러드, 새싹채소 순으로 판매가 많이 되었습니다. 즉석조리식품은 순대가 판매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탕, 국, 스프 순으로 판매가 많이되었습니다.
가정간편식의 장점과 구매사유
① 모든 재료를 사서 조리하는 것보다 가정간편식을 구입하면 더욱 저렴하다.
② 조리방법이 간단하며 조리방법을 몰라도 상관이 없으며 짧은 시간 안에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다.
③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제품이 있다.
④ 다양한 제품이 있어 본인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⑤ 가격별 제품군이 다양하며 합리적인 제품이 많다.
⑥ 다양한 맛의 제품들이 있으며 맛도 우수하다.
가정간편식 섭취시 주의사항
① 종이, 유리, 도자기,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을 사용하며 즉석카레, 간편죽, 국밥 등의 레토르트 식품은 '중탕용'인지 '전자레인지용'인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 재질: 종이제, 유리제, 도자기제,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등
- 전자레인지 사용 부적절 재질: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알루미늄 호일 등
② 레토르트 식품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조리방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조리방법에 따른 가열시간을 지킵니다. (밀봉용기의 경우에는 뚜껑을 조금 열거나 구멍을 내어 사용합니다. 장기간 조리가 아닌 데우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③ 전자레인지에서 음식을 꺼낼때에는 장갑 등을 착용합니다.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시장. 음료의 정의, 마켓 트렌드, 소비자조사 (0) | 2022.06.23 |
---|---|
식품시장 트렌드, 글로벌 식품패키지 (0) | 2022.06.22 |
식물성 대체육. 현황, 영양성분, 종류 (0) | 2022.06.21 |
김밥, 위생적인 조리 방법! (0) | 2022.06.20 |
HACCP, 7원칙 12절차 중 7원칙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