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

식품시장 트렌드, 글로벌 식품패키지

by 우이크92 2022. 6. 22.
반응형

글로벌 식품패키지

식품패키지란?

패키지(포장, Package)는 생산된 제품을 보호하고 정보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중 식품패키지는 식품의 수송, 보관 및 유통과정 중에서의 품질과 위생측면에서의 안정성 유지가 목적입니다. 식품패키지는 상품으로써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알맞은 재료나 용기를 사용하여 식품에 적절한 처리를 하는 기술이나 이를 적용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식품패키지는 '일반식품포장'과 '서비스포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서비스포장은 식단, 패스트푸드, 테이크아웃 레스토랑 및 케이터링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글로벌 식품패키지 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3,238억 달러로, 2021년부터 향후 7년간 연평균 5% 성장률이 전망되어, 2028년 4,782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식품패키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39.3%로 시장규모가 가장 컷으며, 북미, 남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식품패키지시장은 증가하는 경제활동인구와 1인가구를 겨냥한 편리성과 IT기술을 접목한 신선유지 등의 기능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 제품사례-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 식품시장 트렌드

 

글로벌 식품패키지 시장의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거래의 성장으로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는 포장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속가능한 친환경 포장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 수요에 맞춰 식품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포장이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포장 등도 등장하여 소비자의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마트 진열대에서 상품을 구분하는 것이 식품패키지의 주목적이었으나 IT기술의 발전, 1인가구의 증가, 친환경소비에 대한 관심으로 식품패키지는 더 똑똑하고, 작고, 지속가능하게 진화하여왔습니다. 스마트 패키징은 제품을 포장하고 보호하는 것 이상의 '능동적 기능'을 갖춘 포장으로 크게 '액티브 패키징'과 '인텔리전트 패키징'으로 구분됩니다.

- 액티브 패키징: 식품포장 내부를 향균물질과 산화방지제 등의 화합물로 코팅하여 박테리아 번식 등을 방지해 식품 오염을 막아 유통기한을 연장시킴으로써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음식물쓰레기를 감소시킵니다.

- 인텔리전트 패키징: 액티브 패키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포장 내에 사물인터넷, 센서 기술 등을 적용해 제품의 신선도를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것으로 언제 개봉되었는지, 보관 온도는 적당한지 등을 알려줍니다.

전세계적으로 1인가구 증가와 맞물려 일코노미(1인+경제) 제품이 증가하고 있으며, 식품포장도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소용량, 소포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1인가구는 간편하게 한끼 식사를 해결하려고 하므로 따로 덜어먹을 필요가 없는 용기일체형 포장이나 신선한 식품을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바로 먹을 수 있게 만든 진공스킨포장 기술 등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1인가구 증가와 함께 음식 낭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확대되면서 대형마트와 배달앱 등에서도 먹거리를 소량으로 구입하는 트렌드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MZ 세대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5%는 혼자서 음식을 다 먹지 못하고 버리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유례없는 위기를 경험하면서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으며, 일반 개개인들은 친환경에 대한 관심을 소비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를 지칭하는 그린슈머와 소비를 넘어 기업의 친환경 경영에 깊게 개입하고자 하는 이노슈머가 급부상함에 따라 친환경 이미지를 선점해 브랜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간 경쟁도 치열ㅅ합니다. 식품포장분야에서도 불필요한 과대포장을 줄이고, 플라스틱 대신 친환경 소재를 찾는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성향이 강화됨에 따라, 글로벌 친환경 패키지시장은 '21년 2,320억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5.5% 성장하여 27년 3,19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무라벨·경량화·신소재 생수 용기의 등장, 플라스틱을 줄이고 없앤 식품패키지, 식물성·친환경 플라스틱 용기의 개발이 되는 등 지속적인 개발과 성장을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본 글은 식품산업통계정보의 [해외동향] 6월 2주 트렌드픽-글로벌 식품패키지 편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